많은 친족 어휘 가운데 ‘오빠’와 ‘누나’는 어원 연구에서 크게 주목받지 못한 어휘에 속한다. ‘오빠’는 논의 자체는 있었지만 본격적인 논의가 없고, ‘누나’는 논의 자체가 거의 없다. 그렇다고 ‘오빠’와 ‘누나’의 어원 설명이 전혀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이들과 형태론적 계열 관계에 있는 다른 친족 어휘와 비교해 보면 단어 형성이나 형태 변화 과정을 그런대로 설명할 수 있고, 친족 어휘 전체에 적용되는 명명의 원리를 고려한다면 의미 변화의 문제도 어렵지 않기 때문이다.
‘오빠’와 관련된 단어는 후기 중세국어에는 보이지 않고 근대국어 문헌인 <화음방언자의해>에 ‘올아바’로 처음 보인다. 여기서 ‘올아바’는 ‘오라바’에 대한 분철 표기며 ‘오라바’가 후기 중세국어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아주 일찍부터 평칭의 호칭어로 쓰였다. 존칭형 ‘오라바님’을 통해서도 ‘오라바’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국어 친족 어휘의 존칭형은 평칭의 호칭어에 ‘-님’이 결합되는 구조라는 점에서 ‘오라바님’의 ‘오라바’가 의당 평칭의 호칭어가 되기 때문이다.
‘오라바’는 ‘올-’과 ‘아바’로 분석된다. ‘올-’은 올밤, 올벼 등에 보이는 ‘올-’과 기원이 같다. ‘아바’에 선행해 이른, 어린, 미숙한 정도의 의미를 보인다. ‘아바’는 본래 ‘부(父)’에 대한 평칭의 호칭어이다. 그런데 ‘오라바’에서 ‘아바’는 ‘부(父)’의 의미가 아니라 ‘남자’의 의미를 보인다. 따라서 ‘오라바’는 ‘아버지보다 어리고 미숙한 남자’ 정도로 해석된다.
‘누나’와 관련된 말은 후기 중세국어에도 문헌이 나타나지 않는다. 근대국어 이후에 조어된 단어로 추정되고 ‘누니’에 호격의 ‘아’가 결합된 ‘누니아’가 축약된 형태로 간주된다. 19세기 말 <한영자전>에 ‘누나’가 처음 보였으며 이후에는 실제 많은 용례를 보인다. 이때 ‘누나’에 ‘여동생’의 의미가 있었다. ‘누나’의 본래 의미는 ‘여형제’이고, ‘여형’(女兄)과 ‘여제’(女弟)의 의미도 갖는다. 그런데 지금은 의미가 축소돼 ‘여형’의 의미만 보인다.
‘언니’는 20세기에 들어서야 나타난다. ‘언니’의 어원을 ‘앗, 엇’에 접미사 ‘-니’가 결합해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하는 견해가 있다. 이때 ‘앗, 엇’은 ‘처음’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앗니, 엇니’는 ‘초생자’(初生子)의 의미를 갖는다. 이것이 손위 여자 형제나 손위 여자를 이르는 말로 변했다고 보는 것이다.
고은재가복지센터
무료상담전화 : 031-222-3256/010-5778-3256
출처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http://www.jjan.kr)
내 modoo! 홈페이지, 더 많이 방문하도록 홍보하고 싶다면?
네이버 검색창에 "고은주간보호*재가복지센터@"으로 검색하도록 안내하세요.
"홈페이지명"에 "@"을 붙여 검색하면
네이버 검색에서 modoo! 홈페이지를 더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기호 @은 영어 "at(~에)"를 뜻하며, 홈페이지 주소 modoo.at에서 at을 의미합니다.
로 무료 제작된 홈페이지입니다. 누구나 쉽게 무료로 만들고, 네이버 검색도 클릭 한 번에 노출! https://www.modoo.at에서 지금 바로 시작하세요. ⓒ NAVER Corp.